-
오버라이드 방지 (재정의 방지)
-
재정의, 상속을 방지하고 싶은 것들 앞에
final
을 붙여주면 된다. -
예시 :
final var
,final func
,final class
등
class Person {
final var name: String = ""
final func speak() {
print("가나다라마바사")
}
}
final class Student: Person {
override var name: String {
set {
super.name = newValue
}
get {
return "학생"
}
} // Person의 name은 final을 사용했기 때문에 재정의할 수 없다.
override func speak() {
print("학생입니다.")
} // Person의 speak은 final을 사용했기 때문에 재정의할 수 없다.
}
class UniversityStudent: Student {} // Student는 final을 사용했기 때문에 상속받을 수 없다.
런타임 시기에 성능적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Static Dispatch와 Dynamic Dispatch의 차이를 알아야 하지만 이것들을 알기 전에 vTable을 먼저 알아야 한다.
Swift는 클래스마다 vTable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클래스 내부의 함수들 중 어떠한 함수를 호출해야 할지 결정하는 테이블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함수가 호출되면 vTable에서 지금 class가 어떠한 함수를 호출해야 하는지 조회를 하고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을 갖게된다.
왜냐하면 함수가 오버라이딩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속받은 함수를 호출해야 할지, 오버라이딩 한 함수를 호출해야 할지 누군가는 알려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이 런타임 때 이루어지며, 이는 당연히 성능 측면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동적으로 어떤 메소드와 프로퍼티를 호출할지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런타임에 결정된다는 말이다! (Swift는 기본적으로 해당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Dynamic Dispatch와는 반대로 컴파일 시기에 이미 어떠한 메소드와 프로퍼티를 호출할지 결정한다.
그러므로 Dynamic Dispatch처럼 결정하는 과정이 없으니 성능상으로 이점이 있을 것이다..!
⭐️ 추가적으로
final
키워드 뿐만 아니라private
또한 다른 곳에서 override를 하지 않으면 컴파일러가 알아서 Static Dispatch처럼 동작한다.접근제한자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유에서라도 private를 습관화 하는게 좋다.